작년과 올해 들어 최저임금이 많은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최저임금이 너무 많이 올랐다고 주장하는 사용자 측의 입장과, 최저임금을 그 정도는 받아야 생활이 된다는 근로자의 입장 모두 틀린 말은 아니라고 봅니다.
이럴 때 일수록 우리 아이가 근로소득 이상의 자본을 획득할 수 있는 수단, 즉 일하는 것 외에 돈을 벌 수 있는 방법을 알아야 앞으로 세계와 경쟁하는 시대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기본적으로 금융과 화폐의 흐름이나, 투자란 어떤 것인지에 대해 정의를 내리고 상세히 알아보고자 합니다.
그래서 무엇이든 시작을 할 때는 그 분야의 기본적인 용어정리, 즉 정의를 내리는 작업을 해야 앞으로 들어갈 내용들에 대해서 이해가 갈 것인데, 첫 번째로 오늘 하고자 하는 용어정리는 ‘투자란 무엇인가’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자 합니다.
1) '투자'란 무엇인가?
투자 란 소득의 증진을 목적으로 취득한 자산 또는 항목을 의미합니다. 경제적 의미에서 투자는 오늘날 소비되지는 않지만 미래에 부를 창출하는 상품을 구매하는 것입니다. 그것이 주식이 되었던, 현물자산인 금, 은이 되었던, 화폐나 어떤 채권이나 선물이 되었던 말이죠. 금융에서의 투자는 자산이 미래에 소득을 제공하거나 나중에 이익을 위해 더 높은 가격으로 판매 될 것이라는 생각으로 구입한 화폐 성격의 자산입니다.
비금융 자산으로는 부동산의 매입이나 토지의 매입, 그리고 물건을 생산하는데 사용된 건물 또는 기타 시설에 대한 자금의 흐름도 투자로 볼 수 있습니다. 혹은 다른 상품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상품의 생산 또한 투자로 간주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물건을 중간에서 배달해서 돈을 버는 방법도 있고 말이죠.
그 중에서 오늘 중점을 맞출 투자라는 것은 금융에서의 투자입니다. 위에서 설명한 특징을 간단히 정리해 보면,
1번 : 현재의 소비를 억제하고 미래에 더 큰 수익을 얻기 위한 금융활동
2번 : 투자한 원금에 대한 시간 보상과 위험에 대한 보상이 적절하게 부여된 경제활동
3번 : 얼마나 리스크를 감당할 수 있는가에 대한 정신활동
이 세가지로 요약할 수 있을 것입니다.
선택할 수 있는 투자 및 투자 스타일에는 여러 유형이 있습니다. 뮤추얼 펀드, ETF, 개인 주식 및 채권, 폐쇄형 뮤추얼 펀드, 부동산, 비상장 주식 거래 등 다양한 대체 투자들도 존재합니다.
다음시간에는 투자 스타일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기본적인 증권 투자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이와 함께하는 경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가는 왜 주식 대신 채권을 찍어내기 시작했을까? (0) | 2018.07.25 |
---|---|
중국과 미국의 본격적인 무역전쟁, 그 시작은 어디인가? (0) | 2018.07.23 |
트럼프가 소유했던 플라자 호텔에서의 협정, 무역 전쟁은 세계 대공황의 전조인가? (0) | 2018.07.16 |
정치와 경제는 하나다, 4차 중동전쟁과 1차 석유파동 (0) | 2018.07.14 |
한국 산업구조 역사의 맥 집기 - 농사에서 제조업까지 (0) | 2018.07.12 |